7-10 OCTOBER 2023
ASIAN PROJECT MARKET
아시아프로젝트마켓

2023 프로젝트

3학년 2학기(가제) 감독 이란희 제작국가/지역 대한민국
  • 프로듀서 신운섭, 이세진
  • 제작사명 작업장봄
  • 작가명 이란희
  • 포맷 2K  |  color  |  100분
  • 장르 드라마
  • 제작단계 투자유치단계
  • 참가목적 투자유치
  • 제작예산 USD 768,226
  • 확보예산 USD 499,347

로그라인

직업계 특성화고 3학년 창우는 현장실습을 통해 취업과 진학에 성공할 수 있을까?

시놉시스

직업계 특성화고 3학년 창우는 엄마에게 잘 키운 아들로 인정받고 싶다. 창우는 진학과 취업을 해결하기 위해 대기업 하청업체에서 현장실습을 시작한다. 창우는 선배 노동자들에게 일과 관계를 배우던 중 비정규직 노동자들 편에 섰다가 진학과 취업에 실패한다. 하지만 창우는 좋아하는 일을 찾게 되고 자부심을 갖는 노동자로 성장하고 새로운 일자리와 삶을 찾아 엄마 곁을 떠난다.

연출의도

예비 노동자가 바라본 ‘워킹 푸어(Working Poor)’ 시대의 노동 풍경은 어떤 것일까? 그가 단순한 관찰자로 있지 않고 자신도 곧 합류하게 될 불안정한 노동계급의 삶을 동병상련의 마음으로 함께 할 수 있다면 ‘계급의식’을 갖춘 노동자로 성장할 수 있지 않을까? 태어나서 한 번도 부유한 적 없고 한 번도 공부를 잘 한 적 없는 특성화고등학교 청소년의 취업기를 통해 능력주의 때문에 모멸감과 수치심 속에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노동자로서의 자부심을 전하고 싶다.

제작의도

지난 몇 년간 특성화고등학교 현장실습생과 청년노동자들의 죽음이 뉴스를 통해 알려졌다. 모든 청소년들이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존재로 알려진 한국 사회에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은 산업재해 사망 소식으로써만 그 존재가 알려지는 것 같아 안타깝다. 현장실습생들과 청년노동자들의 죽음에 관한 기록을 찾아보면서 죽은 이의 친구였을, 혹은 후배였을 청소년들의 삶을 그려보고 싶었다. 특성화고 청소년들을 ‘죽은 존재’가 아니라 ‘살고 있는 존재’로서 이야기하고자 한다. 아직 앳된 얼굴로 이제 막 사회에 들어서는 청소년들의 이야기, 교복을 벗고 작업복을 입기까지 어떤 일을 겪고, 내면의 어떤 문제를 해결해 가는지 집중해 보고자 한다.

감독 소개

감독사진

이란희 감독은 1996년부터 2003년까지 극단 한강에서 배우와 기획자로 활동했다. 현재 영화 감독과 배우로 활동하고 있다. 출연작으로는 <낮술>(노영석, 2009), <자연인>(노영석, 2023) 등이 있다. 연출작으로는 단편영화 <파마>(2009), <결혼전야>(2014), <천막>(2016), 장편영화 <휴가>(2020)가 있다. 첫 장편영화 <휴가>(2020)는 2020 부산국제영화제 뉴 커런츠 섹션에 처음 소개되었으며 국내외 유수 영화제에서 상영되었다. 2020 서울독립영화제에서 장편대상, 독불장군상, 독립스타상(이봉하 배우)을, 2021 부산평화영화제에서 꿈꾸는평화상(대상) 등을 수상했다.

프로듀서 소개

감독사진 감독사진

신운섭 프로듀서는 연극·영화 배우 및 독립영화 프로듀서로 활동하고 있다. 단편영화 <결혼전야>(이란희, 2014), <천막>(이란희, 2016), 장편영화 <휴가>(이란희, 2020)를 프로듀싱했다. 출연작으로는 <낮술>(노영석, 2009), <이것이 우리의 끝이다>(김경묵, 2014), <자연인>(노영석, 2023) 등이 있다.

이세진 프로듀서는 독립영화 프로듀서로 활동하고 있다. 장편영화 <바람의 언덕>(박석영, 2019), <절해고도>(김미영, 2021), <어디로 가고 싶으신가요>(김희정, 2023)를 프로듀싱했다.